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칼 레인(Cal Lane) 미술이 언어의 한 종류로 이해된다

예술

by rooun 2020. 6. 10. 12:51

본문

728x90

기호학은 기호, 즉 어떠한 의미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것에 대한 학문이다. 이를 위해 기호학자들은 기호가 발생하는 과정, 기호의 작용과정, 기표화, 소통 등의 개념을 가지고 연구한다. 기호학은 언어의 구조와 그 의미를 연구한다는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언어학 분야와 맞닿아 있지만, 언어학과는 다르게 기호학은 비언어 기호체계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출처: 위키백과)

 

19세기 말에 활동했던 두 학자,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ce)와 미국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개념에 영향을 받아, 20세기 말 기호학이라는 복잡한 변환 체계가 시각 미술에 적용되었다. 언어 학자들이 음성 언어의 구조를 분석한 반면, 기호학자들은 기호 분석이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 적용된다고 보았다. 의복 스타일이며 에티켓의 법칙, 남녀의 행동, 장식 등 인간의 생활 안에서 기호학의 용어로 분석될 수 없는 영역은 없었다.

미술가들은 미술 역시 관습적인 기호의 바탕 아래 작업하는 것이고 따라서 기호학은 구체적인 미술작품 분석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상에 대한 재현이나 다양한 미술 매체의 상징적인 속성은 기호학을 통해 분석 가능한 훌륭한 대상이 된다. 일례로 칼 레인은 전통적이고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이분법적인 상징의 기호를 섞어 불협화음을 만들어냈다.

 

칼 레인(Cal Lane)

 

 

 

 

칼 레인, School of the Art, Purchase collage

 

 

 

 

 

 

 

칼 레인, tramsforms oil tanks onto lacy sculpture

 

 

 

 

 

 

 

칼 레인, Oil tank map of the world

 

 

 

 

칼 레인은 캐나다 출신으로 여성 조각가이다. 그녀는 미술을 공부하기 전에 용접공으로 훈련을 받았고 산업 철강 제품으로 섬세한 레이스 조각을 만든다. 자동차 범퍼와 정원용 삽, 대형 쓰레기통, 오일 탱크 등 기타 강인한 강철 소재의 사물을 재료로 그 위에 정교하게 레이스 패턴을 장식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공산품을 용접 토치로 자르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전통적으로 여자들이 집에서 주로 레이스를 만드는 것은 가내수공업으로 직물을 짜는 여성의 일로 인식되는 반면, 금속을 자르는 것은 연장이나 기계를 만드는 남성적인 기술을 의미한다. 강철을 상징하는 남성성과 용접을 통해 구현되는 여성성의 레이스 장식 패턴의 결합으로 그녀는 사물이 상징하는 속성과 의미하는 바를 한 작품 속에 상대적으로 대치하여 전통적으로 해석되는 기호의 의미를 전복시켰다. 언어나 기타 상징의 잠재된 구조가 항상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개념을 더한 것이다.

 

 

 

 

 

 

 

칼 레인, 삽(shovels, 2016)

 

 

 

 

 

 

 

칼 레인, Covet Rug Drum

 

 

 

 

 

 

 

칼 레인, Pantie

 

 

 

 

 

 

 

칼 레인, 외바퀴손수레(Wheelbarrow, 2007)

 

 

 

 

상징하는 기호학적 의미는 어떠한 상징체계나 언어, 문학작품, 회화, 사회 시스템 등의 문화 생산물도 개인차에 따른 다름으로 인해 내적인 모순과 숨겨진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현대는 모순이 더욱 뚜렷해지는 시대이다. 실상의 많은 진실과 사실은 상대적이고 불확실한 것으로, 문화와 시대적 배경에 의해 구성되고 변화에 민감하다. 우리가 속한 문화적 배경은 상호 영향력을 전파하는 언어로 구성되는 텍스트로 가득 차 있다. 이렇듯 수많은 텍스트의 정보가 정확도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제공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경쟁한다. 손쉽게 접하는 미디어가 포화된 사회에서 특정 정보가 과거처럼 특정 가치관이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환경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모든 범주 간의 경계와 구분이 무너질 수 있고 특히 사상과 문화의 근간이었던 절대적인 이분법은 더는 대립각으로 효력을 상실하여 남자와 여자,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백인과 흑인,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고급과 저급 등의 대중문화 사이의 구분은 점점 희석되고, 혼성이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융합되어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을 미술 작품 분석에 있어 기호학적 태도로 언어의 텍스트를 이해하듯 의미를 유추하고 해석 가능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Cal Lane images from Google search 

테마 현대미술 노트(진 로버트슨,Jean Robertson, 2012)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